다윗의 믹담과 토브

시편 16편의 제목을다윗의 믹담이라고 했습니다. 
믹담…. [미크탐]이란 단어로조각, 새김을 뜻합니다. 성경학자들은 이 말이조각한 어떤 것 곧 광석, 을 뜻하는 [케템]이란 단어에서 왔다고 하여믹담을 「황금의 시」로다윗의 걸작품으로 보고 있습니다. “믹담이란 제목이 붙은 시가 시편 16, 56~60편의 6편입니다. 또 한 편에서는 이믹담이란 말이덮다를 뜻하는 외래어로「속죄의 시」라 하기도 합니다. 

2절 내가 여호와께 아뢰되 주는 나의 주시오니 주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 하였나이다. 
“복”은…. [토브]란 단어로 복수로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기의속에 많은 것이 들어 있습니다. “선하고, 좋고, 아름답고, 잘되고, 기쁘고, 즐겁고, 옳고, 낫고, 보배로운 것”을 말합니다. 처음 사용된 곳은 창세기 1:4절로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입니다. 
구약에서는 하나님이 복을 주심으로 번영과 행복을 가져다 주는 하나님의 은총입니다.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로 의롭다 함을 얻는 것입니다. 또 물질적인 복에서 영적인 복으로 복의 개념이 발전되고 있습니다.

표류자와 왕(파스칼의 소품집)

파스칼의 소품집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떤 항해사가 항해를 하다가 파선하여 표류하던 중 어떤 섬에 닿게 되었다. 그런데 그 섬의 주민들은 그를 왕으로 모셔 그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 섬을 다스리던 왕이 행방불명되었는데 우연히도 표류자의 인상이 실종된 왕과 비슷한 때문이었다. 표류자는 하루아침에 섬의 왕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표류자는 처음 얼마 동안은 어리둥절하고 불안하며 양심의 가책이 되어 자기 신분을 밝히고 왕 자리를 사직하려고 생각도 해보았으나 날이 갈수록 왕 노릇에 재미를 붙이게 되었다. 세월이 지나면서 양심의 소리는 적어졌고 왕 노릇에 재미를 붙이게 되었다. 세월이 지나면서 양심의 소리는 적어졌고 오히려 진짜 왕이 나타날까봐 불안을 느꼈으며, 도리어 섬사람들을 학대하고 혹사하며 전제군주가 되어버렸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세상에는 문제가 참 많지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어떠냐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언젠가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벤자민 스타인이라는 사람이, 세상에서 실패하는 8가지 성품의 글을 올린 적이 있다. 

1) 자기 기만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 
2) 비생산적인 사람이라는 거다. 
3) 존경해야할 사람을 존경하지 못하는 사람 
4) 예의 없는 행동, 무례히 행동하는 사람
5) 어울리지 않는 복장이라고 한다. 
6)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것만 나열하는 사람
7) 문제를 만드는 사람이다. 
8) 우선순위를 잘 모르는 성품을 가진 사람

벤자민의 지적을 볼 때, 실패자의 공통점은 환경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가 있다.

수도사와 올리브나무

옛날 한 수도사가 기름(oil)이 필요하여 올리브 묘목을 심었습니다. 그리고 그는주여, 이 연약한 뿌리가 마시고 자랄 수 있는 비가 필요하니, 단비를 내려 주시옵소서라고 기도했습니다. 주께서는 단비를 내려 주셨습니다. 그 수도사는 또 기도를 했습니다. “주여, 나의 나무는 태양이 필요합니다. 주께 기도 드리오니 해를 주시옵소서.그러자 검은 구름을 몰아버리고 해가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주님, 이 나무를 단단히 하기 위해서는 서리가 필요합니다라고 수도사는 외쳤습니다. 그랬더니 그 작은 나무에는 서리가 앉아 번쩍거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웬걸 저녁에는 죽어 버렸습니다.

그 수도사는 동료 수도사의 방을 찾아가, 그의 이상한 경험을 털어놓았습니다. “나도 역시 작은 나무 한 그루를 심어 키우고 있습니다고 하면서 그의 동료는 말했습니다. “그런데 보십시오! 잘 자랍니다. 나는 나무를 하나님께 맡깁니다. 그 나무를 만드신 하나님께요. 그는 나 같은 사람보다 그것이 필요로 하는 것을 더 잘 알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나는 어떤 방법으로도 고정시키지 않습니다. 다만 ‘주여! 이 나무가 필요로 하는 것을 주시옵소서. 강풍이든, 햇빛이든, 또한 바람이든, 비든, 서리든 주께서 때를 따라 주시옵소서. 주께서는 이것을 만드셨고, 그리고 잘 아시나이다’라고 기도할 뿐입니다는 것이었습니다.